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여고괴담’ 내가 아직도 친구로 보이니? 2편

by 그럽디다. 2021. 8. 4.

어쩌면 전설의 고향

 

[여고괴담]은 당시 막 개방된 일본문화의 영향아래 있다고 평하는 관객이 많았지만, 좀 더 들여다보면 [여곡성], [월하의 공동묘지] ,오히려 원혼을 다룬 한국식 호러클래식을 답습한 작품에 가깝다. 가부장적인 사회질서속에서 고통받던여인의 을 극한의 경쟁구조 속에 발버둥치는학생들의 스트레스로 대체했을 뿐이었다. 그래서인지 동정심을 불러일으키는 귀신이 등장하고 난데없는 화해로 마무리된다.

 

화해를 하는 방식 또한 문제였다. 지나치게 신파와 계몽으로 치닫는 분위기 속에 요즘 같아선 귀신이 설명충이라고 손가락질받을 만한 장광설이 이어진다. 그것은 공공연하게 벌어지는 교사들의 성추행, 욕이 섞인 여고생들의 일상어로 쌓아놓은 작품의 현실감을스스로 무너뜨리는 꼴이었다.

 

 

! ! !’하는 효과음과 함께 순간이동했던 귀신(최광희)의 움직임은 제법 그럴싸했지만, 이외에 푸르스름한 조명으로 일관하는전설의 고향식미장센은 허술한면이 없지 않다. 학원공포물의 원조라고 할 수 있고 최근 클로이 모레츠, 다코다 존슨, 미아고스, 틸다 스윈튼 주연으로 리메이크되고 있는 [서스페리아](1977)의 만듦새와 비교해볼 필요가 있겠다.

 

그럼에도 [여고괴담]은 여전히 우리에게 유효한 공포다. 오늘도 지옥같은 교육환경 속에서 고통받는 학생들이 있기 때문이다. 작품에서 기성세대가 되어 학교로 돌아온 은영(이미연)은 여전히 늙은 여우미친개가 쏟아내는 폭력을 막아서지 못 한다.시스템의 공고함을 핑계삼아 맥빠진 위로를 건낼 뿐이었다. 마찬가지로 20년이 지나, [여고괴담]을 다시 보고 있는 우리들도 그동안 무엇하나 바꾸지 못했다.

 


저작권자 ⓒRUN&GUN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런앤건 = : 김격렬]